불교에서의 문수보살: 지혜와 복덕의 상징

불교에서의 문수보살: 지혜와 복덕의 상징

불교에서의 문수보살이라는 존재는, 많은 복덕과 반야지혜를 상징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 이래로 이 보살에 대한 신앙이 전해져 왔는데, 그 중 하나가 문수보살이다. 문수는 문수사리(文殊師利) 또는 문수시리(文殊尸利)의 준말로, 범어 원어는 만주슈리(Manjushri)이다. 이는 달다[甘], 묘하다, 훌륭하다는 뜻의 ‘만주’와 복덕(福德)이 많다, 길상(吉祥)하다는 뜻의 ‘슈리’를 합한 표현으로, 훌륭한 복덕을 지닌 존재를 의미한다.

문수보살의 중요성

문수보살은 부처님이 돌아가신 뒤 인도에서 태어나 반야(般若)의 도리를 선양한 이로서, 항상 반야지혜의 상징으로 표현되어 왔다. 그는 『반야경』을 결집, 편찬한 이로 알려져 있고, 또한 모든 부처님의 스승이요 부모라고 표현되어 왔다. 이는 『반야경』이 지혜를 중심으로 취급한 경전이고, 지혜가 부처를 이루는 근본이 되는 데서 유래된 표현이다.

문수보살의 성격과 역할

문수보살은 일시적으로 몸을 바꾸어 보살의 지위에 머물고 있었으나, 오랜 옛적에 이미 성불하여 용존상불 · 대신불 · 신선불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미래에는 보견여래로 불릴 것이라고 전해졌다. 이외에도 북방의 상희세계에 있는 환회장마니보적불이 문수보살로 불리며, 이 부처님의 이름을 듣는 순간 사중죄가 없어진다는 일설도 있습니다.

문수보살의 신앙과 역사

문수보살은 신라의 고승 자장이 기도를 드렸던 중국 산시성 청량산으로 상주하고 있다고 전해집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는 강원도의 오대산을 문수보살의 상주도량으로 믿고 신봉합니다.

문수보살은 연화대주에 앉아 지혜의 칼과 푸른 연꽃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하지만, 때때로 위엄과 용맹을 상징하는 사자를 타고 있는 모습이나 경권을 손에 든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합니다. 문수보살은 지혜의 완성을 상징하는 화신이며, 지혜가 완성되면 마음에 분별심, 차별의식, 우열관념 등이 없는 한없는 고요 속의 밝음을 느낄 수 있다.

문수보살의 신앙 확산

뿐만 아니라, 문수보살에게도 중생을 제도하기 위한 십대원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 이래 이 문수보살에 대한 신앙이 전해져 왔으며, 이를 최초로 이식한 것은 자장이었습니다. 이외에도 경흥대덕이 문수의 경책을 받은 일이나 연회국사가 문수보살을 친견한 이야기, 태자 보천과 효명이 오대산에 문수보살을 중심으로 한 오방위신앙을 정립시킨 기록 등이 있습니다.

문수보살의 이야기와 역사

경순왕이 공양을 올리기 전, 문수보살의 화신임을 모르고 꺼렸다는 설화, 고려 시대 문수보살과 함께 수도했던 3명의 고승과 관련된 설화, 세조의 병을 고쳐준 문수동자의 이야기, 문수동자의 경책을 들은 환우화상 이야기, 땡추로 변화한 문수보살, 하동 칠불암의 문수동자 설화 등 다양한 이야기들이 전해져왔습니다. 문수보살을 본존으로 하는 기도법으로는 문수팔자법이 있는데, 이는 천변, 일식, 월식, 병란 등을 피하는 수행법이다.

문수신앙의 확산

우리나라의 문수신앙은 신라의 고승 자장에 의해 정착되었습니다. 화엄경에 따르면 중국 청량산을 문수보살의 상주처로 봤으며, 자장은 청량산에서 7일간 기도하며 문수보살로부터 사구게 5절을 받았습니다. 이후 한 노승으로부터 범어 게송에 대한 해석과 부처님의 가사와 발우주를 받았으며, 신라에 구층탑을 세워 나라를 편안하게 할 것을 부탁받았다.

문수신앙의 성장

노승으로부터 우리나라의 오대산이 문수보살의 상주처라는 가르침을 받은 자장은 귀국하여 황룡사에 구층탑을 세우고 오대산 중대에 적멸보궁을 건립하여 오대산을 문수신앙의 중심 도량으로 만들었습니다. 그 뒤 강릉 수다사, 태백산 석남원 등에서 문수보살과 관련된 이적들을 남겼습니다.

문수신앙의 현재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문수도량으로는 오대산을 비롯하여 춘천시 청평사, 삼각산 문수암, 김포 문수암, 평창군 문수사, 옥천군 문수사, 서산시 문수사, 구미시 문수사, 고성군 문수암, 울산광역시 문수암, 김제시 문수사, 익산시 문수사, 고창군 문수사 등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사찰 대웅전에는 석가모니를 중심으로 좌측에 문수보살을 봉안하는 경우가 많으며, 대적광전에도 문수보살을 봉안합니다. 문수신앙이 강한 사찰에는 문수전을 따로 두어 문수보살상만을 모신다.

이로써, 문수보살의 역사와 신앙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였습니다. 문수보살은 불교에서 지혜와 복덕의 상징으로, 우리나라의 역사와 신앙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문수보살에 대한 깊은 이해와 신앙은 불교 신자뿐만 아니라 모든 이에게 큰 영감을 주고 있습니다.

 

위 작품의 출처는 취원 허유지 선생님의 작품입니다.